삼성전자 서초사옥에 삼성 깃발이 바람에 휘날리고 있다. ⓒ뉴시스 
삼성전자 서초사옥에 삼성 깃발이 바람에 휘날리고 있다. ⓒ 뉴시스 

민주신문=승동엽 기자|삼성전자가 임원 인사를 단행하며 인공지능(AI)과 로봇, 반도체 등 분야에서 미래 기술 인재를 다수 승진시켰다.

승진 규모는 2021년 이후 5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30대 상무와 40대 부사장 승진도 증가하는 등 세대교체가 가속화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25일 부사장 51명, 상무 93명, 펠로우 1명, 마스터 16명 등 총 161명을 승진 발령하는 내용의 2026년 정기 임원 인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작년의 경우 부사장 35명, 상무 92명, 마스터 10명 등 총 137명이 승진했는데, 1년 새 승진 규모가 24명 커졌다.

삼성전자 정기 임원 인사 규모는 2021년 214명을 기록한 이후 ▲2022년 198명 ▲2023년 187명 ▲2024년 143명 ▲2025년 137명으로 꾸준히 감소했지만 5년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구체적으로 DX(디바이스경험)에서 92명, DS(디바이스설루션)에서 69명이 승진했다.

삼성전자는 산업 패러다임의 급속한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며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AI, 로봇, 반도체 등 분야에서 미래 기술을 이끌 리더들을 승진시켰다.

DX 부문에서는 데이터 지능화 전문가인 삼성리서치데이터인텔리전스 팀장 이윤수(50) 부사장이 승진했다.

DS 부문의 경우 차세대 설루션 플랫폼 개발과 핵심 요소 기술 확보를 주도한 메모리사업부 설루션플랫폼개발팀장 장실완(52) 부사장이 승진했다.

삼성전자는 또 불확실한 경영 환경 속에서도 주요 사업 분야에서 경영성과를 창출한 인재들을 중용하며 성과주의 인사 원칙을 견지했다.

DX 부문에서 세계 최초 AI폰 등을 기획해 스마트폰 제품 경쟁력을 높인 MX사업부 스마트폰PP팀장 강민석(49) 부사장이 승진자에 포함됐다. DS 부문에서 메모리사업부 플래시 PA1그룹장 노경윤(53) 부사장도 승진했다.

또 이번 인사에서는 연공과 서열에 상관없이 두각을 나타내는 젊은 인재들을 과감히 발탁했다. 세대교체를 가속화하는 등 불확실한 경영환경을 돌파할 차세대 경영진 후보군 육성도 실시했다.

30대 상무는 2명, 40대 부사장은 11명이 나왔다. 작년 각각 1명, 8명이었던 데 비해 규모가 확대됐다.

승진자 평균 연령은 47.7세다. 작년 47.6세와 비슷했다. 다양성과 포용성에 기반한 글로벌 인적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인사 기조도 이어갔다.

DX 부문 지속가능경영추진센터 ESG전략그룹장 정인희(51) 부사장이 주요 이해관계자와의 협력을 주도한 공을 인정받는 등 여성 인재들이 중용됐다.

삼성전자는 2026년 정기 임원인사를 통해 경영진 인사를 마무리한 데 이어 조만간 조직개편과 보직인사를 확정해 발표할 방침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민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