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신문=승동엽 기자|공정거래위원회는 최근 3개월간(8~10월) 발생한 대규모기업집단(자산 5조 원 이상 공시대상기업집단)의 소속회사 변동 현황을 21일 공개했다.
변동 현황에 따르면 92개 대규모기업집단의 소속회사는 올해 8월 3289개에서 이달 3일 기준 3275개로 14개 감소했다.
회사설립(신규 34개 사, 분할 1개 사), 지분취득(11개 사) 등으로 31개 집단에서 55개 사가 계열 편입됐다. 흡수합병(15개 사), 지분매각(18개 사), 청산종결(14개 사) 등으로 30개 집단에서 69개 사가 계열 제외됐다.
신규 편입된 회사가 많은 집단은 ▲한솔·효성(각 5개) ▲사조·태광(각 4개) ▲다우키움·포스코·한화(각 3개) 순이다. 계열 제외된 회사가 많은 집단은 카카오(17개), SK(9개), 이랜드·현대자동차(각 3개) 순이다.
이번 소속회사 변동에는 세 가지 특징이 나타났다. 먼저 최근 대규모기업집단들은 선택과 집중을 기조로 실적이 부진한 사업을 정리하고 미래 성장 동력에 집중하고자 지분매각, 흡수합병, 청산종결 등을 통해 비핵심 소속회사를 다수 계열 제외했다.
대표적으로 카카오는 게임 개발과 관련해 넵튠 등 10개사를 포함한 17개사를 계열 제외했다.
이러한 사업구조 재편의 움직임은 전기차 분야에서 두드러졌는데, SK는 실리콘 음극재 관련 얼티머스㈜, SK머티리얼즈그룹포틴㈜, 전기차 충전 사업 관련 SK일렉링크㈜의 지분을 매각했다.
LG는 전기차 충전기 관련 ㈜하이비차저를, 포스코는 이차전지 관련 포스코씨앤지알니켈솔루션㈜를 청산해 계열 제외했다.
또한 대규모기업집단의 몸집줄이기 기조 속에서도 기존 사업 확장 또는 신사업 추진을 위한 지분취득, 회사설립 등 계열 편입이 이뤄졌다.
삼성은 노인 복지시설의 설치·운영을 목적으로 삼성노블라이프㈜를 설립하였고, 포스코는 희귀 특수가스 사업 확장을 위해 켐가스코리아㈜의 지분을 취득해 계열 편입했다.
이 밖에도 CJ는 콘텐츠 사업 강화를 목적으로 콘텐츠웨이브㈜를 계열 편입했고, 네이버는 비상장주식 플랫폼인 증권플러스비상장㈜의 지분을 취득했다. 태광은 화장품 사업 진출을 위해 ㈜실을 설립해 계열 편입했다.
아울러 부동산 개발 및 투자 관련 회사에 대한 지분취득, 회사설립 등 계열 편입이 활발했다. 한화는 부동산 관련 자산운용사인 ㈜이음자산운용의 지분을 취득했다. GS는 엣지포인트가산피에프브이㈜를, 신세계는 ㈜에스밸류기업구조조정부동산투자회사를, 한진은 케이웨이프라퍼티㈜를 각각 설립하는 등 해당 기간 14개 부동산 개발 및 투자 관련 회사가 계열 편입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