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국내 주요은행 ATM기 모습 ⓒ 뉴시스
서울 시내 국내 주요은행 ATM기 모습 ⓒ 뉴시스

민주신문=이한호 기자|올해 3분기까지 국내 은행들이 21조 원이 넘는 당기순이익을 거두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환율 하락에 따른 외환·파생 관련 이익과 지난해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배상에 따른 기저효과가 실적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금융감독원이 20일 발표한 '2025년 1~3분기 국내은행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국내 은행의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21조1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18조8000억 원)보다 2조3000억 원(12.0%) 증가한 수치다. 이러한 추세라면 역대 최대였던 지난해 연간 순이익(22조2000억 원)을 넘어설 가능성이 크다.

은행 종류별로 살펴보면, 시중은행의 순이익은 14조1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조5000억 원 늘었으며, 특수은행과 인터넷은행도 각각 8000억 원과 500억 원 증가했다.

반면 지방은행의 순이익은 1조 원으로 500억 원(4.5%) 감소했다.

은행의 핵심 수익원인 이자이익은 44조8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00억 원(0.7%) 증가하는 데 그쳤다. 순이자마진(NIM)이 0.07%포인트 하락했지만, 대출 등 이자수익자산 규모가 4.5% 늘어난 덕분에 소폭의 증가세를 유지했다.

반면 비이자이익은 6조8000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조1000억 원(18.5%) 급증하며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 특히 원·달러 환율이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외환·파생 관련 이익이 2조6000억 원 증가한 영향이 컸다.

또한 영업외손익은 1조6000억 원 흑자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1조6000억 원 손실) 대비 3조1000억 원 개선됐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에 발생했던 ELS 배상금(1조4000억 원)이 사라진 기저효과와 자회사 투자지분 관련 이익이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수익성 지표인 총자산순이익률(ROA)은 0.67%, 자기자본순이익률(ROE)은 8.99%로 전년 동기와 비슷하거나 소폭 상승했다.

하지만 비용 부담은 늘었다. 판매비와 관리비는 인건비 상승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1조2000억 원(6.3%) 증가한 20조7000억 원을 기록했다. 대손비용 역시 원화 대출 연체율이 상승하면서 지난해보다 1000억 원 늘어난 4조7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금감원은 "환율 하락에 따른 외환·파생 관련 이익의 일시적 증가, 작년 ELS 배상금 기저효과 제외 등에 주로 기인했다"며 "이자이익은 금리하락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수준이 지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향후 미 관세정책 등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취약 부문을 중심으로 대손비용이 크게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며 "은행이 자금공급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충분한 손실흡수능력 확충 및 건전성 관리 강화를 지속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민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