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 본사 전경. ⓒ 이마트
이마트 본사 전경. ⓒ 이마트

민주신문=변현경 기자|이마트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35.5% 증가한 1514억 원을 기록했다고 11일 밝혔다. 다만 같은 기간 순매출은 7조4008억 원으로 1.4% 감소했다.

이마트는 앞서 2분기 흑자 전환한 데 이어 3분기에도 실적 개선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올해 1~3분기 누계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67.6% 늘어난 3324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마트는 통합 매입을 통한 원가 개선과 가격 재투자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한 점이 주효했다고 설명했다. 이를 기반으로 한 최저가 정책과 고객 중심의 공간 리뉴얼 전략이 시너지 효과를 냈단 분석이다.

대형 할인 행사 '고래잇 페스타'와 주요 생필품을 상시 최저가 수준으로 운영하는 '가격파격 선언' 등으로 가격 혁신을 이끌었다.

또 해외 직소싱 강화로 상품 경쟁력과 가격 우위를 동시에 확보했다. 실제로 지난 9월 오픈한 트레이더스 구월점은 해외 신상품 90여 종을 포함한 230여 종의 글로벌 상품을 선보였다.

스타필드 마켓의 경우 공간 리뉴얼을 추진하며 고객 방문 확대를 이끌어냈다. 매장별 리뉴얼 후 ▲일산점 66% ▲경산점 21% ▲동탄점 18% 등 매출이 신장됐다.

특히 트레이더스는 이마트 수익성 개선의 핵심 성장축으로 자리매김했다. 올해 3분기 트레이더스 총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6% 증가한 1조4억 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1.6% 성장한 395억 원으로 호조세를 이어갔다.

각각 지난 2월과 9월에 개점한 마곡점·구월점은 첫 달부터 흑자를 기록해 외형 성장과 시장 경쟁력 강화를 이끌었다.

이마트는 트레이더스만의 강점으로 대용량·가성비 중심의 차별화된 상품과 자체 브랜드(PB) 'T스탠다드'를 앞세운 전략을 꼽았다. T스탠다드의 올 3분기 매출 또한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하는 성장세를 보였다.

오프라인 자회사의 경우 영업 호조와 다양한 개발사업 참여에 힘입어 신세계프라퍼티의 견조한 실적이 이어졌다. 조선호텔앤리조트는 투숙률과 객단가가 동시에 개선되면서 영업이익이 확대됐으며 신세계L&B도 전반적인 수익성 개선에 힘을 보탰다.

이마트 관계자는 "이번 실적은 외부 변수에도 흔들리지 않고 본업 경쟁력이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준 결과"라며 "가격·상품·공간 세 축을 중심으로 고객이 체감할 수 있는 혜택을 강화하고 안정적인 성장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민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