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호중 행안부 장관이 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정자원 화재 관련 중대본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 뉴시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이 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정자원 화재 관련 중대본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 뉴시스

민주신문=변현경 기자|정부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에 따른 전산망 장애로 가동했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40일 만에 해제했다. 재난 위기경보 단계 또한 '심각'에서 '경계'로 하향한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중대본 회의를 주재하고 시스템 장애 복구 현황 및 계획을 점검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오전 6시 기준 전체 전산망 장애 시스템 복구율은 95.3%다. 총 709개 중 시스템 중 676개가 정상화된 상태다.

특히 2등급 시스템인 안전신문고가 전날 복구되면서 국민 생명과 안전에 관련된 1·2등급 시스템들은 모두 정상화됐다.

앞서 지난 9월 26일 발생한 국정자원 화재에 대해 정부는 이튿날인 9월 27일 중대본을 가동했다.

윤 장관은 "복구 완료가 가시권에 들어옴에 따라 정부는 이날부로 행정 정보 시스템 재난 위기 경보를 하향 조정한다"며 "이에 따라 중대본을 해제하고 위기상황대응본부로 대응 체계를 전환한다"고 말했다.

이어 "위기상황대응본부 체계에서도 주기적인 점검 회의로 상황을 철저히 관리하고 완전한 정상화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않겠다"고 했다.

아직 복구되지 않은 시스템에 대해서는 "대전센터에서 복구하는 시스템 693개는 오는 20일까지 모두 복구할 계획"이라며 "대구센터로 이전 복구하는 시스템은 내달 복구를 목표로 인프라 구성 등을 신속히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재발 방지책 마련에도 총력을 다할 방침이다. 윤 장관은 "이번 일을 디지털 정부 인프라의 취약점을 돌아보는 중요한 계기로 삼고 있다"며 "정보 시스템 등급제와 이중화 방식 전면 재설계 등 시스템 구축 및 운영 방식을 근본적으로 혁신하겠다"고 강조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민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