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S, DJ 위독 전부터 화합 추진"



80년대 당시 민주화추진협의회(이하 민추협)의 활동은 국내 언론에선 다룰 수도 없는 것이었다. 오히려 외신을 통해서 기사화 되기도 했다. 이런 이유로 민추협 회원들은 격동의 시절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했다는 자부심을 늘 가지고 있다. 가끔 열리는 모임에선 "형님"과 "동생" "막내" 등 격의없는 호칭이 오가며 당시의 상황을 반추하곤 한다. 양김으로 대표되는 YS-DJ를 축으로 동교동계와 상도동계로 나뉘어져 있지만 그 본류에는 "민추협"이 자리잡고 있는 것. DJ의 서거로 화합과 통합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시점에서 민추협 회원들은 기나긴 시간 앙금을 털어내고 화합의 기틀을 마련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행사장에서 84년 민추협이 결성될 당시 64명의 초대 멤버 중 한 명이었던 박찬종 전 의원을 만날 수 있었다. 여전히 무료변론을 하고 있는 그를 서초동으로 이동하는 차안에서 인터뷰했다.
 
- 동교동계와 상도동계가 회동을 가졌다. 일각에선 향후 민추협의 정치적 세력화 시선도 있는데. 
"현재로선 그냥 모여서 밥 먹는 수준이다. 나는 지역주의라는 원죄에 우리가 일정부분 책임이 있다고 본다. "민추협" 이름대로 민주화가 여전히 미진한 부분에 대해서는 우리들의 역할이 아직 있다고 본다. 그러기 위해서는 내가 오늘 제시한 실천강령에 회원들이 동의한다면 세력화가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의지가 있는지는 모르겠다." 
 
-양 진영 화합이 조문정국의 영향이 크게 작용했다고 보는가.
"DJ 서거 전 YS의 동의하에 지역주의 타파를 위해 양 진영이 손을 잡자는 뜻을 전하기 위해 동교동측과 접촉한 적이 있다. 현철(YS의 차남)이와 이 부분에 대해서 얘기를 나누기도 했다. 최경환 비서관을 통해 DJ와의 면담을 신청했는데, 기다려도 신장투석 등 병환 때문에 어렵다며 이런 저런 핑계를 댄 후 추후에도 연락을 받지 못했다. 
DJ측이 건강상의 이유를 핑계대기는 했지만 정세균 대표 등 민주당 인사와 접촉을 하는 등 활동을 하는 것을 보고 내심 화가 났다. 최 비서관에게 전화를 걸어 "민주화 투쟁을 함께 해온 DJ와 나와의 인연을 최 비서관은 아느냐. 최 비서관은 모르는 것 같다. 안다면 이럴 수 없다"고 화를 낸 기억이 있다.
(만남이)성사 되지 않아 DJ와 인연이 있는 민주당 이강래 원내대표를 통해 DJ와의 만남을 주선했지만 바빴는지 역시 연락을 받지 못했다. DJ와 면담 때 말 할 내용이 "양 진영의 화합을 골자로 지역주의 타파에 힘을 쏟자"는 것을 알고 장례식장에서 만난 이강래 원내대표가 "정말 죄송하다"고 사과하기도 했다. DJ가 병상에서 위독한 상황이 아닌 모습으로 양 진영의 화합이 이루어 졌으면 더 의미가 컷을 것인데 아쉬운 부분이다."  
 
-  소 "국회의원의 수를 줄여야 한다" 등 입법기관인 국회에 비판적인 발언을 거침없이 하고 있는데.  
"국회의원 수를 200여명 정도로 줄여서 국민의 비판기능과 감시기능을 확대해야 한다. 국회가 권위주의에서도 탈피해야 한다. 의원들은 뱃지를 달고 나면 어깨에 힘이 들어가고 사람이 변한다. 난 5선을 하는 동안 단 한번도 "금뱃지"를 달아본 적이 없다. 299명중에 열심히 활동하는 사람이 몇 명이나 있는가. 국회의원의 자율권이 있지만 주변의 눈치를 보지 않고 소신 것 발언하는 의원들이 몇이나 되나. 단적인 예가 천성관 검찰총장 인사청문회만 보더라도 여당의원이라고 해서 문제가 있는 부분을 무조건 감싸는 모습을 보이면 안 된다. 할말을 하지 못하는 것은 국회의원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 최근 이명박 대통령이 여의도 정치와의 간극을 줄이고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는가.
"우리나라는 행정·입법·사법부 엄연히 3권 분립이 되어있다. 서로 비판과 견제 기능을 해야 한다. 그동안 여의도 정치와 거리를 둔 이 대통령의 처신은 잘한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여의도와의 소통강화를 위해 행정부를 비판해야할 국회의원을 장관으로 임명되는 것에 대해서는 반대한다.
이번 입각과 관련 재선이상 의원들 30여명이 넘게 장관직을 희망한 것으로 알고 있다. 노골적으로 장관직을 희망한 인사도 있다고 한다. MB에 대한 충성심이 어찌 높지 않을 수 있겠는가. 지역구를 가진 의원의 경우 장관직에 오를 阻우 이력은 물론 지역구 관리에도 도움이 되고 여러 이점이 있다. 의원이 입각을 하면 의원직에서 사퇴해야 하는 것으로 법을 바꾸어야 한다." 
 
- 4년 중임제에 대해선 개인적으로 어떻게 생각하는가.
"정치가 잘못되고 있는 것이 헌법 탓인가. 개헌론을 주장하고 있는 김형오 국회의장은 헌법의 내용이 어떤 것인지는 알고 있는가 묻고 싶다. 개인적으로 4년 중임제에 대해서는 반대한다. 대통령과 집권당은 8년 집권을 목표로 의기투합 할 것이고 정경유착은 더욱 극심해지고 나라를 더 황폐화시킬 수 있다."
강인범 기자 neokib@naver.com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민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