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이 31일(현지시간) 워싱턴 DC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에서 기자회견을 가지고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이 31일(현지시간) 워싱턴 DC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에서 기자회견을 가지고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민주신문=이한호 기자|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이 기준금리를 4회 연속 동결했다. ‘추가 금리 인상’ 문구 역시 삭제하면서 피벗(정책 전환)에 대한 가능성도 높아졌다.

그러나 파월 연준 의장은 3월 금리 인하 가능성에도 선을 그으면서 한국은행 역시 금리인하 시점에 대한 고민을 이어가게 됐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5.25%~5.5%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FOMC는 지난해 9월부터 4회 연속으로 금리를 동결했다.

파월 의장은 이날 FOMC 정례회의 직후 기자회견에서 “오늘 회의로 봤을 때 위원회가 3일 정례회의에서 확신하는 수준에 도달해 그렇게(금리를 인하) 할 때라고 확인할 것 같지는 않다”고 말했다.

시장에서 기대하고 있던 3월 금리 인하에 대해서 사실상 선을 긋는 발언이었다. 파월 의장은 경제가 좋은 흐름을 보이고 있지만, 목표 인플레이션 2%를 달성할 수 있을지 아직 확신할 수 없다고 진단했다.

파월 의장은 올해 중 금리인하 가능성을 언급하면서도 혹시라도 물가가 다시 인상될 경우에 대비해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그는 “경제는 두가지 목표를 위해 좋은 진전을 이뤘다. 인플레이션이 심각한 실업률 증가 없이 완화됐다”면서도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너무 높고, 이를 낮추기 위한 지속적인 진전은 확실하지 않으며, 앞으로의 경로도 불확실하다”고 말했다.

FOMC 성명서에서도 연준의 긴축 기조를 반영하던 ‘추가적인 금리 인상’ 문구가 삭제됐다. 미국이 사실상 금리 인상 종료를 선언했지만 정작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해서는 말을 아끼면서 한국은행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국내 경기 부진 우려가 높아지고 있지만 한은이 당장 금리를 내릴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한미간 금리 역전 차가 2%포인트인데 섣불리 미국보다 먼저 금리를 낮췄다간 자본 이탈 우려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물가와 가계부채도 금리 인하 가능성을 제약한다. 소비자물가가 3%대로 내려왔지만, 미뤄왔던 공공요금 인상 가능성과 유가 불확실성이 높다. 은행권 가계대출은 역대 최대인 1095조 원까지 치솟았다. 서울 지역 입주 물량이 감소하고 있는데 금리 인하까지 더해지면 주택매매 가격 상승 압력도 높아질 수 있다.

이에 한은의 통화정책 전환 시기는 미국의 금리 인하 시점에 달린 것으로 관측된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준의 3월 금리 인하 가능성은 35.5%, 5월 금리 인하 가능성은 95.3%로 내다봤다.

한은 역시 서두르지 않고 미 연준의 움직임을 지켜보다가 하반기에 금리 인하를 검토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이창용 한은 총재 역시 1월 금통위 직후 간담회에서 사견임을 전제한 채 “6개월 이상 금리 인하가 쉽지 않다”고 발언한 바 있다.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지난 8번의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연속으로 금리 동결을 결정했다. 연준이 금리 동결을 결정하면서 오는 22일 열리는 금통위 회의에서도 금리 동결을 결정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거시경제실장은 “우리나라 금리 인하가 미국보다 빠를 수는 없다”면서 “미국이 2분기 금리를 낮추면 한은은 3분기 내로 금리를 내릴 수 있다”고 말했다.

안예하 키움증권 선임연구원도 “내수 부진과 부동산 PF 등에 따른 유동성 우려를 고려해 한은이 하반기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며 “미국 연준의 6월 인하를 전제로 한응ㄴ의 7월 인하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민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