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기동 행정안전부 차관이 2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정부합동 주요시스템 특별점검 결과 (전산시스템 점검결과) 브리핑을 하고 있다. © 뉴시스
고기동 행정안전부 차관이 지난해 12월 2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정부합동 주요시스템 특별점검 결과 (전산시스템 점검결과) 브리핑을 하고 있는 모습. © 뉴시스

민주신문=승동엽 기자|정부가 중요 행정시스템을 복수의 데이터센터에서 상시 운영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데이터센터의 행정전자서명(GPKI) 시스템이 장애를 발생시키더라도 다른 데이터센터에서 바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원화 시스템’이 구축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지난해 11월과 같은 행정망 마비 사태가 발생해도 중단 없이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26일 행정안전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등에 따르면 현재 정부는 이 같은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GPKI의 위험등급도 3등급에서 1등급으로 올리고, 재해복구대상에 포함하는 방안도 살피는 중이다.

GPKI는 공무원이 행정전산망에 접속할 때 신원을 확인하는 인증시스템이다. 지난해 11월 GPKI에 장애가 발생하면서 공무원들이 행정전산망에 접속하지 못해 각종 증명서 발급이 중단되는 등 일명 행정망 마비 사태가 초래됐다.

GPKI에는 사고에 대비한 이중화 장치가 있었다. 다만 데이터를 백업하는 수준이라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해 작동을 중단하더라도 즉시 복구가 어렵다.

이로 인해 민간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행정망 마비 사태를 막기 위한 이원화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잇따랐다.

현재 GPKI시스템은 대전 데이터센터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센터 이원화 시 광주·대구 등의 데이터센터에서도 서비스를 동시에 운영하게 될 전망이다. 정부 데이터센터는 대전에 본원이 있으며 광주와 대구에 센터가 위치해 있다.

한편 이 같은 개선안은 오는 31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할 ‘디지털 행정서비스 발전을 위한 종합대책’ 내용에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민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