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의 한 편의점에서 한 소비자가 카드 결제를 하고 있다. ⓒ뉴시스
서울 시내의 한 편의점에서 한 소비자가 카드 결제를 하고 있다. ⓒ뉴시스

민주신문=이한호 기자|고금리가 이어지고 카드론(장기카드대출)이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에 포함되면서 저신용 차주들이 갈 곳을 잃어가고 있다.

꾸준히 증가하던 카드론 누적액이 9월 들어 전달보다 2700억 원가량 감소했다. 카드사들이 저신용 차주들부터 카드론을 조이기 시작한 것이다. 은행들이 대출이자 지원 등 상생금융 ‘시즌2’ 대책을 내놓는 것과는 상반된다.

14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9월 카드론 누적액은 35조5951억 원으로 전월(35조8635억 원)보다 2684억 원 감소했다.

카드론 누적액은 6월 34조8468억 원, 7월 35조3952억 원 등으로 증가세를 보여왔다. 이번에 감소한 것은 카드사들이 저신용 차주들을 대상으로 카드론을 줄이기 시작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9월 기준 기준 8개 전업 카드사(롯데·삼성·신한·우리·하나·현대·BC카드·KB국민) 가운데 신용점수 500점 이하 회원에게 카드론을 내준 곳은 한 곳도 없다.

그동안 신용점수 401~500점 구간의 회원에게 카드론을 운영했던 KB국민·BC·롯데·우리카드 등도 차례대로 대출을 중지했다.

9월 기준 규모가 작은 BC카드를 제외한 7개사의 카드론 평균 금리는 연 12.45~14.98%로 집계됐다. 700점 이하(중저신용자) 회원 평균은 15.96~17.57%에 달했다.

이는 최근 카드사의 조달 금리가 상승한 데서 비롯됐다. 카드사는 은행과 달리 수신기능이 없어 통상 대출 등 사업에 필요한 자금의 70% 가량을 여전채로 조달한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10일 기준 신용등급이 AA+인 카드 3사(신한·삼성·KB국민카드)의 3년물 여신전문금융사채(여전채) 평균 금리가 연 4.744%로 집계됐다.

지난해 초 2%대 중반대까지 하락했던 여전채 금리는 레고랜드 사태 직후인 지난해 10~11월 6.0%대까지 급등했다. 이후 3월 중순께 3%대 후반대로 떨어졌지만, 5월23일 4.008%로 다시 오르며 4%대로 재진입했다. 이후 4% 후반대까지 상승한 것이다.

다만 코로나19 시기를 제외하고 수년 동안 큰 이익을 거둔 카드업계가 상생금융에 인색한 점에 대해선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최근 윤석열 대통령이 금융권을 비판하자 은행들은 상생금융 프로그램 '시즌2'를 잇따라 발표했다. 최근 신한은행은 1050억 원, 하나은행은 1000억 원 규모의 상생금융 방안을 발표했다. 국민은행과 우리은행, 농협은행도 조만간 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반면 카드업계는 이와 관련해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카드사의 연체율이 높아지고 있고 건전성 관리 강화 차원에서 대출 심사를 강화하고 있다"며 "여전채 금리 상승으로 조달금리 상승이 예상되는 반면 법정 최고금리는 20%로 제한돼 있어 취약차주의 카드론 대출이 앞으로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민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