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서 이관...국립진주박물관, 석조물 정원에 재건 30일부터 공개

경복궁에 있던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

[민주신문=양희중 기자] 일제 강점기 일본 골동품상이 매수해 경남 산청을 떠나 일본으로 건너간 통일신라시대 석탑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이 77년 만에 온전한 모습으로 우리의 곁으로 돌아온다.

5일 국립진주박물관(관장 최영창)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이관한 국보 제105호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 재건을 위한 터파기 공사와 함께 석조물 정원의 정비, 상설전시실 개편을 통해 30일까지 복원을 완료한다고 밝혔다.

범학리 삼층석탑은 9세기 무렵에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조선시대까지 사찰과 함께 경호강이 바라보이는 둔철산 자락에 서 있었으나 절이 사라지면서 허물어졌고 일제강점기에 수난을 겪은 뒤 오랫동안 제자리를 찾지 못한 유물이다.

그 후 1941년 일본인 골동품상이 허물어져 있던 석탑을 매입한 뒤 대구에 있던 공장 공터에 해체된 채 보관돼 있었으나 조선총독부 박물관이 유물 실태조사 과정에서 확인해 1942년 서울로 이송했다.

해방 이후 1946년 5월 미군 공병대가 경복궁 안에 다시 세웠으나 1994년 경복궁 정비사업으로 해체돼 23년간 국립중앙박물관 수장고에 보관됐다.

국립진주박물관은 지역을 대표하는 석조문화재가 수장고 안에 보관되어 전시의 어려운 점을 안타깝게 여겨 석탑의 진주 이관을 요청했으며 마침내 지난해 2월 진주로 돌아왔다.

박물관측은 석탑 전시에 앞서 역사학, 미술사학, 보존과학 조사 등 다각적인 연구를 진행했는데 미술사적으로 삼층석탑은 전형적인 통일신라 양식을 계승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경남 지역 석탑 중에는 유일하게 탑 외부에 부조상이 존재한다.

대구 공장 공터에 보관됐던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

허일권 학예연구사는 “석탑상층 기단에는 신장상 8구, 1층 탑신에는 보살상 4구를 정교하게 새겼다. 신장상과 보살상 조합은 독특한 사례여서 학술 가치가 뛰어나며 우수한 조각 기술도로 경남지역 불교미술의 수준을 보여주는 걸작”이라고 강조했다.

석탑 암질은 분석을 통해 외관상 화강암과 유사한 섬장암으로 밝혀졌는데 섬장암은 국내에 분포하는 지역이 많지 않아 석탑 재료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아 희귀한데 석탑이 있던 산청군 산청읍 범학리 일대에 많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허 연구사는 “석탑 부재와 범학리 섬장암 성분이 일치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석탑이 9세기 무렵 범학리 주변 석재로 현지에서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알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아울러 박물관 측은 일제강점기 일본인이 석탑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사라진 하대석 일부분이 빠져 없어졌으나 범학리 근처 정곡리에 섬장암이 있는 채석장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찾아냈다. 원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복원 부재를 제작해 석탑은 77년 만에 원형에 가까운 모습을 찾게 될 예정이다.

최영창 관장은 “석탑을 복원할 때는 본래 부재와 같은 산지에서 난 돌을 사용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기존보다 진일보한 석탑 복원 기준을 제시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국립진주박물관은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 전시 공사가 완료된 뒤 다양한 기념행사를 개최하고 내년에 학술조사 보고서를 발간할 방침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민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