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석화업계 사업재편 촉구…"기한 연장 불가"

2025-11-26     조환흠 기자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 9월 19일 울산 남구 석유화학산업단지에서 '울산 석유화학기업 사업재편 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민주신문=조환흠 기자|정부가 석유화학사업 재편 시한을 앞두고 여수 국가산업단지를 찾아 기업들의 신속한 결단을 촉구했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6일 여수 국가산업단지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더 이상 사업재편계획서 제출 기한의 연장은 없다고 경고했다.

이어 "기한을 맞추지 못한 기업들은 정부 지원 대상에서 배제될 것"이라며 "향후 닥칠 대내외 위기 속에서 각자도생해야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는 지난 8월 발표한 '석유화학산업 재도약 추진방향'에 따른 로드맵 준수를 재차 강조한 발언이다.

김 장관은 "대산이 사업재편의 포문을 열었다면 여수는 그 운명을 좌우할 것"이라며 여수 기업들의 설득에 주력했다. 최근 롯데케미칼이 대산 산단의 나프타분해시설(NCC) 가동 중단을 결정하며 업계 구조조정의 신호탄을 쏘아 올린 상황에서 여수 지역의 동참이 산업 재편의 분수령이 될 것이란 판단에서다.

간담회 직후 김 장관은 LG화학 생산 현장을 찾아 안전 관리 현황을 점검했다. 그는 "이번 사업재편을 단순한 설비 효율화가 아닌 글로벌 스페셜티(고부가) 기업으로 도약하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며 "직원과 협력업체 근로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챙겨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오후에는 여수·율촌 산단의 화학 및 철강, 유지보수 업체들이 참석한 '석유화학·철강산업 생태계 유관 기업 간담회'가 열렸다. 참석 기업들은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 부담 완화 ▲석유화학 특별법 조속 시행 ▲미국 투자 관련 비자 발급 지원 ▲수출 금융 한도 증액 등을 정부에 건의했다.

이에 김 장관은 "전기요금 인상에 따른 기업 부담을 엄중히 인식하고 있다"며 "산업 경쟁력을 고려해 전력 당국과 협의하겠다"고 답했다. 또한 지난 21일 상임위를 통과한 '석유화학 특별법'은 내년 1분기 시행을 목표로 준비 중이며 비자 발급과 금융 지원도 전담 데스크와 무역보험공사를 통해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약속했다.

정부는 여수와 서산 등을 산업·고용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하고 '5극3특' 권역별 성장엔진 전략을 통해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아울러 연말까지 접수된 사업재편계획서는 신속히 심의해 승인 시점에 맞춰 구체적인 지원 방안을 함께 내놓을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