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가계대출 4조8000억 원 증가…제2금융권·신용대출↑
민주신문=이한호 기자|지난달 전 금융권의 가계대출이 한 달 만에 4조8000억원 늘어나며 증가 폭이 다시 확대됐다. 특히 제2금융권을 중심으로 대출이 크게 늘고 신용대출도 증가세로 돌아선 것이 전체적인 증가세를 이끌었다.
금융위원회는 13일 신진창 사무처장 주재로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10월 가계대출 동향을 점검했다.
이날 회의에는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등 관계기관과 주요 시중은행 및 제2금융권 협회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10월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4조8000억 원 증가해, 1조1000억 원 증가에 그쳤던 전월에 비해 증가 폭이 확대됐다. 제2금융권 대출이 감소세에서 증가세로 전환되고, 10월 중 분양 사업장의 중도금 대출 실행이 늘면서 집단대출이 일시적으로 증가한 영향으로 분석됐다.
주택담보대출은 3조2000억 원 늘어 전월(3조5000억 원)보다 증가세가 소폭 둔화됐다.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은 2조1000억 원 늘어 증가 폭이 다소 줄었으나, 제2금융권은 전월과 같은 1조 1000억 원 증가를 기록했다.
반면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은 1조6000억원 늘어나며 전월(-2조 4000억원)의 감소세에서 증가세로 전환됐다. 특히 신용대출(-1조6000억원→9000억원)이 증가한 영향이 컸다.
업권별로 살펴보면 은행권 가계대출은 3조5000억 원 증가해 전월(1조9000억 원)보다 증가 폭이 확대됐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1조3000억 원 늘어나며 두 달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보험, 여신전문금융회사, 상호금융권 대출이 모두 늘었고 저축은행은 감소 폭이 줄었다.
금융당국은 10월 가계대출 증가 폭이 확대됐지만,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중도금 대출은 과거 대출 약정 당시 실행이 예정됐던 물량이며, 은행권의 일반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는 점 등을 감안했다.
신진창 사무처장은 "금융권 가계대출이 총량 목표 범위 내에서 원활히 관리되고 있다"면서도 "10.15 대책 발표 이전 주택거래량 증가의 영향으로 연말 주택담보대출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통상 11월은 가계대출 증가세가 확대되는 시기인 만큼, 향후 가계부채 증가 추이를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금융당국은 사업자대출이 가계대출 규제를 우회하는 수단으로 악용될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점검을 강화하기로 했다.
신 처장은 또 "올해 7월부터 10월까지 은행권 사업자대출 용도외 유용 실태 점검시 위반 사례가 45건 이상 발생했는데, 제2금융권에서도 유사한 문제가 있는 것 아닌지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며 "특히 새마을금고에 대해서도 중앙회 차원에서 개별 금고의 사업자대출 취급 실태를 철저하게 점검해 달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금융감독원은 이달 안으로 제2금융권 사업자대출 현장점검을 마무리하고, 연내에 위반 차주에 대한 대출 회수 등 관련 조치를 시행할 계획이다. 행정안전부 역시 새마을금고 중앙회 차원에서 사업자대출 취급 실태를 철저히 점검하고 조치하도록 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