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장수 국무총리 이정표... 이낙연 '총선 역할론' 부상
28일 '2년 4개월 27일' 맞아 최장수 국무총리 등극

지난 4일 이낙연 국무총리가 태풍 ‘미탁’ 피해 현장인 강원 삼척시 원덕읍 갈남2리와 초곡마을을 방문해 현장 점검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민주신문=김현철 기자] 정치권에선 요즘 이낙연 국무총리의 거취 문제가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여권 내 차기 대권 주자 중 꾸준히 선호도 1위를 달리고 있는 이 총리를 내년 국회의원 총선거에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과 총리직에 유임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도 이 총리의 존재감이 커지면서 그의 향후 거취를 놓고 고심이 크다.

◇ 한·일 관계 진정시킬 ‘분기점’ 마련
이낙연 총리는 24일 아베 총리를 만났다. 일왕 즉위식 참석을 위해 일본을 방문한 이 총리는 이날 문재인 대통령의 친서를 아베 총리에게 전달했다. 친서에는 양국 간 현안에 대해 조기에 해결할 수 있도록 서로 관심을 가지고 노력하자는 취지의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진다.

이 총리와 함께 동행한 조세영 외교부 1차관은 회담 뒤 “양 총리는 양국은 중요한 이웃 국가로서 한·일 관계의 어려운 상태를 이대로 방치할 수 없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조 차관은 “양 총리가 북한 문제와 관련해 한·일, 한·미·일 공조가 중요하다는 데도 인식을 같이했다. 이 총리는 양국 외교당국 간 대화를 포함한 다양한 소통과 교류를 촉진해 나가기를 촉구했고, 아베 총리는 문제 해결을 위한 외교당국 간 의사소통을 계속해 나가자고 화답했다”고 설명했다.

일본 외무성도 이날 “일·한 양국은 서로 중요한 이웃 나라이며, 북한 문제를 시작으로 일·한, 일·한·미 연계는 극히 중요하다. 문제 해결을 위한 외교당국 간의 의사소통을 계속하자고 말했다”고 발표했다.

일제 강제동원 배상 판결에 대한 양국의 시각 차이는 좁히지 못했지만, ‘고위급 대화 복원’을 통해 최악으로 치달았던 두 나라 관계를 개선할 전환점을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낙연 국무총리가 지난 24일 일본 도쿄 총리관저에서 아베 신조 총리와 만나 면담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이낙연... 문재인 정부의 책임총리 역할
이낙연 총리는 재임 기간 큰 잡음 없이 내각을 이끌며 안정적인 국정 운영을 뒷받침해왔다는 평가를 받는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이 총리가 차기 대선 주자 1위에 이름을 올리는 것도 이런 평가 덕분일 것이다.

이 총리는 2000년 16대 총선을 통해 정치에 입문했다. 이후 내리 4선을 하고 전남도지사를 역임했다. 이 총리가 주목 받기 시작한 건 국회 대정부질문에서다. 야당 의원들의 파상 공세에 품격 있는 언어와 날카로운 논리로 맞받아 쳐 이른바 ‘사이다 답변’으로 주목 받았다.

조류독감을 비롯한 재난재해 발생시 바로 현장으로 달려가 선제적 대응을 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등 책임총리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내각의 군기반장이라는 별칭이 생길 정도로 부처별 현안을 꼼꼼하게 챙기면서 문재인 정부의 안정적인 국정운영을 이끌고 있다는 평가도 받는다.
이 총리는 국민 눈높이에 맞춰 일하는 내각을 내세우며 정책의 실행력과 현장을 강조해왔다.
 
◇ 28일 최장수 국무총리 반열 올라
이낙연 총리는 오는 28일 재임 881일(2년 4개월 27일)을 맞아, 1987년 10월 대통령 직선제 도입 이후 등장한 국무총리로는 최장수 기록을 세운다. 이는 1987년 10월 대통령 직선제 도입 이후 국무총리로서는 최장 재임 기간으로, 직전 최장수 총리인 김황식 전 국무총리(2010년 10월 1일∼2013년 2월 26일, 880일) 기록을 깨는 것이다.

이명박 정부에서는 김 전 총리가 ‘장수’했지만, 한승수 전 총리는 1년 7개월, 정운찬 전 총리는 11개월에 그쳤다. 박근혜 정부에선 정홍원·이완구·황교안 전 총리 모두 재임 2년을 채우지 못했다. 이완구 전 총리의 경우 70일 만에 총리직에서 내려오면서 ‘최단명’ 총리로 남아 있다. 노무현 정부가 배출한 고건·이해찬·한명숙·한덕수 등 4명의 총리 중에서는 1년 9개월가량을 일한 이해찬 전 총리가 가장 오래 재임했다.

문민의 정부 이전까지 거슬러 올라가면 기록은 달라진다. 9대 정일권 전 총리는 1964년 5월 10일 취임해 1970년 12월 20일 사퇴했다. 재임기간이 무려 2416일이다. 김종필 전 총리도 11대, 31대 두 차례 재임 기간을 합치면 2172일 동안 총리로 지냈다. ‘최단명’ 총리도 4·19 혁명 이후 과도정부에서 6대 총리를 지낸 허정 전 총리의 65일이다. 

한국갤럽이 10월 4주차 문재인 대통령 직무수행 평가에서 긍정 평가는 전주 대비 2%포인트 상승한 41%를 기록했다고 지난 25일 밝혔다.

◇ 이낙연... 당 총선 승리 역할론
여당 일부에서는 내년 4월 총선 승리를 위해 이낙연 총리가 당으로 복귀해 역할을 해야 한다는 '총선 역할론' 얘기가 나온다.

수도권의 한 민주당 의원은 "다음 총선에서 누구를 간판으로 내세워 치를 것인지 고민을 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 "문재인 대통령과 이해찬 대표만으로 선거를 치를 수 있는가 물었을 때 고개를 갸웃거릴 수밖에 없는 지역구가 적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여권의 한 핵심 인사는 “대선으로 가기 위해서는 총선 때 총리로 머무는 건 말이 안 된다. 총선에서 역할을 해야 대선으로 갈 수 있다는 건 너무나 당연한 프로세스”라고 말했다.

앞서 이 총리는 지난 5월 토론회에서  "정부·여당의 일원으로 심부름을 시키면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 총리는 최근 민주당 의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당에서 마이크를 들고 선거에서 뛰라면 뛰고, 총리를 더 하라면 하겠다”며 당의 결정에 따르겠다는 의사를 내비친 것으로 전해진다. 

여당 핵심 관계자 역시 "이 총리 입장에선 당에 복귀하고 싶어하는 것이 당연하다"면서 "문재인 정부의 총리를 넘어 다음 행보를 고려한다면 의원들의 지지를 확보해야 하는데 그러려면 총선 만큼 좋은 기회가 어디 있겠느냐"고 했다. 그러면서도 “현재 상황이 어수선한데 총리가 내 정치 하겠다고 다 내팽개치고 갈 사람은 아니다."라는 게 당 안팎의 중론이다는 얘기다.

정치권의 시선은 이 총리가 어느 시점에 물러나고, 내년 총선에서 어떤 역할을 맡을 것인가에 쏠려 있다. 정부와 당도 이 총리의 존재감이 커지면서 그의 향후 거취를 놓고 고심이 커 보인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민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