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등급 판정 80세 이상 치매환자 시설 이용 54.4% 비해 30대 이하는 16.7% 불과

김승희 자유한국당 의원. 사진=뉴시스

[민주신문=강인범 기자] 65세 미만 젊은 치매환자에 대한 세부적 통계 결과가 14일 나왔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승희 자유한국당 의원이 국정감사를 맞아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제출한 ‘연령별 치매환자 현황과 장기요양 등급판정자 대비 이용자 비율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65세 미만 치매 환자수는 18,592명인 것으로 나타난 것.

이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18년 기준 전체 치매환자 수 511,931명 가운데 3.6%에 해당하는 수치다.

세부적으로 2014년부터 2019년 6월까지 치매 질환을 앓고 있는 65세 미만 환자 수는 2014년 19,472명, 2015년 18,390명, 2016년 18,886명, 2017년 18,622명, 2018년 18,592명으로 매년 약 1만 8,792명을 유지하고 있다. 2019년 6월 기준으로는 13,380명이다.

현행 통계청에선 F00: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치매, F01: 혈관성 치매, F03: 달리 분류된 기타 질환에서의 치매, F04: 상세불명의 치매로 분류하고 있다.

이 중 2019년 40세 미만의 젊은 치매환자가 가장 많이 걸린 치매 유형은 혈관성 치매,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치매, 상세불명의 치매, 달리 분류된 기타 질환에서의 치매 순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에서 30대 이하 젊은 치매 환자의 수도 크게 줄지 않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부분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김승희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장기요양 수급판정을 받는 30대 이하 젊은 치매 환자의 2014년 168명, 2015년 166명, 2016년 173명, 2017년 172명, 2018년 153명, 2019년 6월까지는 156명이다

그러나 30대 이하 치매 환자들의 장기요양 1등급 판정자 대비 시설이용자 비율 현황은 2014년 12.5%, 2015년 10.2%, 2016년 8.1%, 2017년 7.0%, 2018년 11.8%로 2019년 6월 기준 9.6%로 15%가 채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80대 이상의 시설이용자의 경우, 2014년 57.7%, 2015년 56.9%, 2016년 56.8%, 2017년 53.5%, 2018년 50.9%, 2019년 6월 46.9%로 30대 이하의 치매 인정자수에 비해 월등히 높은 이용률을 보이고 있다.

이는 젊은 치매 환자의 경우, 시설에 입소해 장기요양서비스를 받기 어려운 상황임을 방증한다는 것이 김 의원의 진단이다.

김 의원이 복수의 관계자들을 의견을 청취한 결과 40대 이하의 치매 환자들이 시설 입소 비율이 낮은 이유는 ‘환자 본인’과 ‘장기요양기관’의 양측의 부담이라고 지적했다.

통상 장기요양기관은 노인 요양시설로 인식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인지 기능’이 남아있는 40대 이하 치매 당사자의 경우, 본인이 노인성 질병에 걸렸다는 자괴감에 퇴소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설명이다.

또한 인지 기능이 사라진 조기 치매 환자도 신체 나이는 젊기 때문에 시설에 입소 중인 65세 이상 환자들이 불편함을 느끼는 이유로 퇴소 조치를 받아야 하는 사례도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일련의 상황과 관련 김승희 의원은 “젊은 치매환자의 경우 노인 치매환자에 비해 부양자조차 없어 오히려 더 많은 국가의 도움이 필요할 수 있다”고 지적하며 “치매국가책임제가 젊은 치매환자들까지 함께 포용할 수 있도록 더 면밀히 보완될 필요가 있다”고 대책마련을 주문했다.

                                     연령별 치매환자 현황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 김승희 의원실 재정리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민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