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웅관아지인’ 청동인장은 승단과 국가의 관계 규명할수 있는 중요 사료

이번에 발굴된 청동인장 2과에는 전서체 6자와 기하문이 새겨져 있는데 2과 중 한 점의 인문(印文)이 ‘범웅관아지인’으로 판독된다. 서체는 당나라 관인과 유사한 구첩전(글자 획을 여러 번 구부려서 쓴 전서체)의 초기형태이다. 문화재청측은 이 인장을 통일신라시대 승단에서 사용한 승관인으로 보고 있다.

[민주신문=양희중 기자] 강원도 삼척 흥전리사지 발굴 조사지역에서 통일신라시대 승단 조직에서 사용한 청동 승관인이 발견됐다. 

문화재청은 5일 대한불교조계종 불교문화재연구소와 삼척시청이 함께 2014년부터 발굴 조사했던 삼척 흥전리사지에서 제작시기가 통일신라 것으로 추정되는 청동인장 2과 12점의 대호(항아리)를 묻었던 장고(장·독 보관시설)가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번에 출토된 청동인장 2과는 모두 완전한 형태다. 이 중 하나는 청동인주함에 인장이 담긴 채 출토됐으며 보존처리 중인 청동인장은 2과 모두 정사각형(5.1㎝)으로 만들어져 윗면에 끈을 매달 수 있는 손잡이가 있는 형태로 제작됐다.

청동인장 2과에는 전서체6자와 기하문이 새겨져 있었는데 2과 중 한 점의 인문(印文)이 ‘범웅관아지인’으로 판독된다. 서체는 당나라 관인과 유사한 구첩전(글자 획을 여러 번 구부려서 쓴 전서체)의 초기형태이다. 문화재청측은 이 인장을 통일신라 시대 승단에서 사용한 승관인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번에 출토된 ‘범웅관아지인’ 청동인장은 경주 황룡사지 출토품 매우 흡사한 형태로 청동인장은 한국 인장사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범웅관아’라는 명문은 통일신라 시대 승단 조직과 국가와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중요한 사료로 판단된다. 

또한 이번 조사에서 강원도 지역에서는 처음으로 장고 터가 확인됐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건물지 내부에 대호 12점을 정연하게 묻어 사찰음식 재료를 보관한 것으로 추정된다. 

발견된 장고의 형태는 통일신라 시대 건물지로 남원 실상사를 비롯해 경주 황룡사지와 성건동 유적에서도 확인됐으며 선종사찰의 장고였음이 밝혀졌다. 

문화재청은 “삼척 흥전리사지는 통일신라 시대 영동지역 불교문화의 정수를 보여주는 사찰로 그간 금당지, 탑지 등 주요 가람시설이 확인됐다”며 “신라 시대에 왕이 임명하는 승단의 최고 통솔자인 국통이 새겨진 비조각을 비롯해 청동정병, 금동번 등 중요 유물이 출토되어 위세 높은 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민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