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훈 의원 과도한 복지와 방만 경영 지적, 발전 5사 변명만 급급

사진캡처=한국남동발전, 한국중부발전, 한국서부발전, 한국남부발전, 한국동서발전 홈페이지

[민주신문=허홍국 기자] 한국전력 자회사인 남동발전, 중부발전, 서부발전, 남부발전, 동서발전 등 발전 5사가 사내 규정에 명확한 근거 없이 임직원에게 실내 골프연습장을 지원하는 것으로 취재 결과 확인됐다.

모회사인 한국전력은 임직원 복리후생 명목으로 실내 골프장을 지원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이들 발전 5사는 모두 공공기관 가운데서도 상위에 속하는 고임금에도 과도한 복지와 방만 경영을 펼치고 있어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실내 골프장을 갖고 있는 공공기관도 한국수력원자력 등 한전 자회사를 빼고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발전 5사의 임직원 실내 골프장 지원이 ‘복지 특혜’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민주신문이 최근 한국전력과 발전 5사를 상대로 취재한 결과, 회사 직원 복리후생 규정에 실내외 골프장 지원을 명확하게 명시한 곳은 없었다. 발전 5사 사규에는 후생시설 또는 체육시설을 지원할 수 있다고 규정돼 있을 뿐이다. 발전 5사 산하 발전본부는 이 규정에 의거해 다른 공공기관이 임직원 복리후생 차원에서 지원하는 체육시설인 헬스장을 설치한 것을 넘어 실내 골프장 지어 지원하고 있다.

모회사 한전 실내 골프연습장 없어

반대로 모회사인 한전은 본사 및 지역본부에서 체력단련시설인 헬스장만 직원 복리후생 측면에서 지원하고 있고, 실내 골프연습장은 없다. 다만 골프회원권 4개를 보유하고 있고, 이마저도 10년 전부터 이용 실적이 없어 매년 처분에 나서는 실정이다.

한국전력 직원 복리 사내 규정에는 사택, 합숙소, 연수원, 식당, 구판정(매점) 등을 지원할 수 있다고 규정돼 있다. 발전 5사도 2001년 한국전력에서 분사될 때 회사 사규도 거의 같아 복리후생 지원 규정이 다르지 않다는 게 관련업계 관계자의 전언이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김정훈 국회의원이 지난 10월 12일 산업통상자원부 국정감사에서 질의하고 있다. 사진=김정훈 국회의원 공식사이트

이에 앞서 김정훈 국회의원은 올해 국정감사에서 한전 자회사인 한수원이 운영하는 5개 골프연습장에 대해 직원의 복지 향상이라는 명목으로 사택 내 호화 골프연습장을 건립해 운영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골프장 건립비만 약157억의 거액이 들어갔다며 혈세 낭비를 지적했다.

김 의원이 한수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골프연습장 건립 사유는 사내 복리후생 규정이었고, 골프장 지원이 명시되지는 않았다. 이와 관련 김정훈 의원은 “한수원은 골프연습장 공통 이용수칙 및 관련 내규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전 발전 5사는 산하 발전 본부사업소에서 임직원 복지후생 차원에서 지원하는 실내 골프장이 과도한 복지가 아니라는 입장이다. 산하 발전본부가 대부분 외진 곳에 위치하는 점을 감안하면 충분히 지원할 만하다는 게 내부 평가다.

이에 대해 본사, 태안, 서인천 등 3곳에 실내 골프장을 운영하는 서부발전은 과도한 것이 아니라는 반박이다. 한국서부발전 관계자는 “사규 규정엔 없지만 직원 복리후생 차원에서 골프연습장을 운영하고 있다”며 “과도한 복지는 아니다”고 말했다. 서부발전 실내 골프장 이용 비율은 내ㆍ외부 5:5다.

“골프장 직원 복지 차원”

중부발전 입장도 서부발전과 비슷하다. 중부발전 관계자는 “회사 내규에는 임직원 복리 차원에서 후생시설을 운영할 수 있다고 규정돼 있다”며 “실내 골프장 지원은 직원 복지 차원이다”고 전했다.

남동발전 역시 각 사업본부별로 실내 골프장 2곳을 운영 중이다. 이 한전 자회사 역시 사내 복지 규정에 골프장 지원이라는 규정은 없다. 동서발전도 실내 골프장을 운영하고 있고, 골프장 지원 근거와 운영 목적에 대해 입을 다물었다. 지원 규정이 없는 것으로 풀이된다.

발전 5사는 낙후된 산하 발전본부의 위치를 고려해 하나같이 과도한 복지가 아니라는 주장을 내세우고 있지만, 환경부 산하 오지의 국립공원 근무자들과 해양수산부 산하 항만청 소속 등대지기를 고려하면 설득력이 떨어진다.

더욱이 서부발전, 중부발전, 수력원자력, 남부발전 등 한전 자회사가 평균 9000만원 안팎의 평균 연봉을 받은 것을 감안하면 과도한 복지라는 비판 여론이 높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민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