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민주신문=이승규 기자] 중국발 미세먼지가 위험 수준에 다다르면서 지자체와 행정·교육 당국을 중심으로 대응 매뉴얼을 마련하는 등 대책 마련에 분주하다.

5일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교육청은 각 학교 교실에 공기청정기 등 공기 정화 시설 설치 방안을 포함한 미세먼지 대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교실별로 공기청정기를 설치할 만큼의 예산 확보가 쉽지 않아 교육청은 5개년 계획을 세워 초등 저학년부터 순차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또 교육청은 오는 7일 환경 관련 교수 3명과 한국공기청정기협회 등과 전문가 협의회를 열어 미세먼지 대응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일선 지방자치단체들도 팔을 걷고 나섰다. 교통·산업·생활 등 전 분야에 걸쳐 지역 실정에 맞는 미세먼지 저감 중장기 대책들을 앞다퉈 내놓고 있다.

대전시는 미세먼지 발생의 주원인 중 하나인 자동차 매연 감축을 위해 친환경 대중교통으로의 전환을 추진 중이다.

경유를 연료로 하는 982대의 시내버스와 마을버스를 2030년까지 전기와 천연가스 하이브리드 버스로 교체하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전기차와 전기 이륜차를 각 1000대씩 2020년까지 보급하고 시가 운영하는 청소차량 41대도 2026년까지 천연가스 차량으로 교체하기로 했다.

인천시는 2004년부터 대기 질 개선을 위해 지금까지 노후 경유차 3만5890대를 조기 폐차했다. 부산시도 항구도시답게 지난해부터 관용선의 디젤 엔진을 천연가스 엔진으로 교체하는 LNG선박 개조사업을 벌이고 있다.

공장·발전소 등 산업현장을 집중 관리하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다.

경기도는 지난 2월 24일 연간 80t 이상의 미세먼지가 발생하는 도내 1종 사업장과 비산먼지를 일으키는 공기업 사업자 등 51개 사업장 대표들과 '대규모 미세먼지 발생사업장 자발적 감축 협약'을 맺었다.

협약에 따라 오는 2020년까지 연 2.5%씩 모두 10%의 대기오염물질 감축 목표를 설정했다.

또 대규모 공장이 없는 제주도는 화석연료를 쓰는 발전소를 예비용으로만 갖추고 모든 전력을 풍력발전과 태양광발전으로 대체하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강원도는 도내 2000개 환경오염물질배출사업장을 특별점검하고 오염물질 다량배출사업장 22곳에 대해서는 실시간 감시시스템(TMS)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효과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미세먼지의 주원인은 중국발 스모그의 영향인 만큼 국내 지자체들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것.

실제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올 초 수도권에 발생한 초미세먼지 원인의 약 80%가 중국의 영향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발 스모그가 북서풍을 타고 국내에 유입되고 있다.

이에 환경부 관계자는 "한국과 중국은 지리적으로 인접해 환경 문제에 있어 긴밀한 관계"라며 "특히 대기보전은 양국의 가장 큰 관심사로 미세먼지 등 당면 과제 해결을 위해 중국과의 협력을 꾸준히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민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