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신문=강소영 기자] “일한 만큼 댓가를 받는 사회를 만들겠다.”

심상정 정의당 대표가 지난달 20일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하면서 외친 일성이다.

정치권에서 ‘소수정당’ ‘비교섭단체’로 불리는 정의당은 26년 만의 5당체제에서 가장 먼저 대선기획단을 꾸리는 등 대선에 한 발 앞선 모습이다.

정의당은 대선 승리만을 쫓는 정국에서 진보정당의 역할론을 강조하며 노동 개혁 카드를 빼들었다.

정의당은 기본시급도 보장받지 못하는 노동자를 위한 최저임금법 개정과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비정규직법의 연내 개정을 추진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또 거시적으로는 노동부총리제를 신설하고 노동전담 검사제를 도입, 대통령 직속 노동시간단축특별위원회를 구성하겠다는 안도 마련했다.

의욕적인 모습이지만 현실적 한계도 만만치 않다. 이같은 목표를 관철시키기 위해서는 당 지지도 상승과 의석수 확대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정의당은 거대 정당에 비해 턱 없이 적은 의석수와 보조금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유일한 진보정당이라는 ‘희소성’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동전의 양면처럼 한계와 희망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정의당이 희소성을 갖는 또 다른 이유는 타 정당이 하지 않는 시도들에 있다. 유일한 여성 후보를 내세웠다. 또 당내 경선에 나선 강상구 전 대변인은 유일한 40대 대선 경선 후보로서 당원 등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희소성과 승부수.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론과 포털에서는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 등 유력 후보에 초점을 맞춘 이슈로 넘쳐난다.

다양한 의견과 정책에 대해 국민이 판단할 수 있는 최소한의 장치가 필요한 시점이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촉발 후 정치권 안팎에서는 정권과 함께 정치 교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소수정당의 외침에 귀를 기울이고, 필요한 정책에는 여야 모두가 협조자가 되는 것 또한 정치 교체의 한 모습이다. 소수정당의 외침으로만 남아서는 안 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민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